개발자를 위한 API 목킹
in Asp Net-iis · 21 min read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이용해 서비스를 운영하게 되면 서비스간 메시지 교환은 API를 이용한다. 이런 API를 개발할 때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하나는 모델 우선 (Model First) 개발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설계 우선 (Design First) 개발 방식이다. 보통은 후자의 설계 우선 개발 방식을 채택하는데, 이의 또 다른
in Asp Net-iis · 21 min read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이용해 서비스를 운영하게 되면 서비스간 메시지 교환은 API를 이용한다. 이런 API를 개발할 때 두 가지 접근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하나는 모델 우선 (Model First) 개발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설계 우선 (Design First) 개발 방식이다. 보통은 후자의 설계 우선 개발 방식을 채택하는데, 이의 또 다른
in Azure App-service · 20 min read
어떤 기업이 자사의 IT에 투자할 때 처음에는 컴퓨터, 네트워크, 데이터센터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쳐에 거의 대부분의 비용을 소비했다면, 시간이 지나 웹 호스팅 환경에서 공간에 대한 비용만 지불하는 방식으로, 이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되면서 컴퓨팅 파워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점차 변해왔다. 아래는 클라우드 이전과 이후, 그중에서도 클라우드
in Azure App-service · 22 min read
지난 2016년 12월 초에 애저 펑션과 관련한 Visual Studio (VS) 툴링 프리뷰 버전을 공개했다. 하지만 설치 안하는 것이 차라리 나을 만큼 버그도 많을 뿐더러, 현재 로드맵에서는 .NET Standard 2.0 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그래서 기다리다 못한 애저 웹 서비스 팀에서 애저 펑션과 관련한 포스트를 하나 올렸다. 이를
in Front End-web-dev · 13 min read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구현에서 핸드폰의 카메라에 접근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이전 포스트에서는 HTML5의 getUserMedia API를 이용해 핸드폰의 카메라에 접근해 봤다. 하지만 이 API는 모바일 장치의 모든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어서 이를 위한 폴백을 제공해야 한다. 반면에 HTML5 Media Capture API는 거의 모든
in Front End-web-dev · 14 min read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필연적으로 맞닥뜨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몇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의존성 관리(Dependency Control)이다. 백엔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양한 제어 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적용이 가능하다. 최신 프론트엔트 프레임워크 역시도 의존성 주입(DI;
in Front End-web-dev · 7 min read
지난 포스트에서 HTML5 getUserMedia() API를 이용해서 핸드폰의 카메라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이번에는 핸드폰의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geolocation)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 포스트에 쓰인 샘플 코드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navigator.geolocation 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