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min read

프로젝트 Bicep 맛보기

Justin Yoo

이 시리즈를 통해 프로젝트 Bicep과 ARM 템플릿 검사도구, 그리고 이를 적용한 GitHub 액션을 다뤄보도록 하자.

애저에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ARM 템플릿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ARM 템플릿은 약간의 러닝 커브가 있고, 템플릿의 구조 자체가 복잡해서 최초 작성시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베스트 프랙티스가 생겼지만, 여전히 최초 작성시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은 사실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이 ARM 템플릿을 쉽게 작성하기 위한 DSL을 공개했다. 이 DSL의 이름은 Bicep인데,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현재 0.1 버전으로 극초기 프리뷰 단계이다. 이 포스트에서는 이 Bicep을 이용해서 ARM 템플릿을 빌드해 보고, 기존의 ARM 템플릿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이 포스트에 쓰인 Bicep 파일은 이곳 GitHub 리포지토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ARM 템플릿 기본 형태

ARM 템플릿의 기본 골격은 대략 아래와 같다.

{
"$schema": "https://schema.management.azure.com/schemas/2019-04-01/deploymentTemplate.json#",
"contentVersion": "1.0.0.0",
"parameters": {},
"functions": {},
"variables": {},
"resources": [],
"outputs": {}
}

여기서 parameters, variables, resources, outputs 속성은 거의 필수적으로 쓰이다시피 하기 때문에, Bicep 에서도 이를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Bicep 파라미터 Parameters

Bicep 에서 파라미터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정의한다.

param myParameter string {
metadata: {
description: 'Name of Virtual Machine'
},
secure: true
allowed: [
'abc'
'def'
]
default: abc
}

가장 간단한 형태로는 아래와 같다. 파라미터의 설명이 들어있는 description 부분을 아예 주석으로 빼냈다 (line #1). 그리고, 기본값을 지정하는 방식은 마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변수를 지정하듯 할 수도 있다 (line #7). 물론 기본값을 지정하지 않고 파라미터만 정의할 수도 있다 (line #8).

// Resource name
param name string
// Resource suffix
param suffix string
param location string = resourceGroup().location
param locationCode string

하지만 secure, allowed 등과 같은 속성을 쓰려면 아래와 같이 개체 형식으로 써야 한다 (line #3-5).

param virtualMachineAdminUsername string
param virtualMachineAdminPassword string {
secure: true
}
param virtualMachineSize string {
allowed: [
'Standard_D2s_v3'
'Standard_D4s_v3'
'Standard_D8s_v3'
]
default: 'Standard_D8s_v3'
}

Bicep 변수 Variables

파라미터가 ARM 템플릿의 외부로부터 입력 받는 값이라면, 변수는 템플릿의 내부에서 만드는 값이다. Bicep 에서 변수의 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다. 문자열의 경우 인터폴레이션과 삼항연산식 등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쓸 수도 있다 (line #2-3).

var metadata = {
longName: '{0}-${name}-${locationCode}${coalesce(suffix, '') == '' ? '': concat('-', suffix)}'
shortName: '{0}${replace(name, '-', '')}${locationCode}${coalesce(suffix, '') == '' ? '' : suffix}'
}
var storageAccount = {
name: replace(metadata.shortName, '{0}', 'st')
location: location
}

파라미터는 =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 반면에, 변수에서는 = 기호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대략 아래와 같다.

  • 파라미터는 구조를 선언하는 것이고,
  • 변수는 값을 할당하는 것이다.

만약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할당하는 경우라면 위의 예제 코드와 마찬가지로 = 기호를 사용해야 한다.

Bicep 리소스 Resources

실제 애저 리소스를 정의하는 부분의 영역은 아래와 같다.

resource st 'Microsoft.Storage/storageAccounts@2017-10-01' = {
name: storageAccount.name
location: storageAccount.location
kind: 'StorageV2'
sku: {
name: 'Standard_LRS'
}
}
resource vm 'Microsoft.Compute/virtualMachines@2018-10-01' = {
name = resourceName
location = resourceLocation
...
properties: {
...
diagnosticsProfile: {
bootDiagnostics: {
enabled: true
storageUri: st.properties.primaryEndpoints.blob
}
}
}
}

몇 가지 눈에 띄는 점이 있다.

  • 리소스 타입과 네임스페이스, 그리고 API 버전을 네임스페이스/타입@버전의 형태로 선언한다 (line #1). 개인적으로 API 버전을 선언할 때 provider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이라고 한다. 아래의 예제처럼 명시적으로 버전을 지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만약 리소스별 API 버전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파워셸 명령어를 쓰면 된다.
$resourceType = @{ Label = "Resource Type"; Expression = { $_.ResourceTypes[0].ResourceTypeName } }
$apiVersion = @{ Label = "API Version"; Expression = { $_.ResourceTypes[0].ApiVersions[0] } }
Get-AzResourceProvider `
-ProviderNamespace <NAMESPACE> `
-Location <LOCATION> | `
Select-Object $resourceType, $apiVersion | `
Sort-Object -Property "Resource Type" | `
Where-Object { $_."Resource Type" -eq "<RESOURCE TYPE>" }
  • ARM 템플릿에서 각 리소스별 의존성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dependsOn 속성을 직접 지정해 줘야 하지만, Bicep 에서는 리소스 레퍼런스만 지정하면 알아서 자동으로 의존성을 해소한다. 예를 들어, 애저 저장소 계정을 선언하고 이후 가상 머신을 선언할 때 저장소 계정 리소스에 대한 레퍼런스를 적어주는 식이다 (line #19).

여기서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ARM 템플릿은 parameters 섹션, variables 섹션, resources 섹션 등이 구분되어 있어 그 안에서만 파라미터, 변수, 리소스를 정의해야 하지만, Bicep 에서는 그 부분이 굉장히 자유롭다. 따라서, 파일 안의 어디에서든 param, var, resource를 선언하고 자유롭게 레퍼런스를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컴파일을 하면서 자동으로 ARM 템플릿에 반영이 된다.

Bicep 설치 및 사용

앞서 언급했다시피 이 글을 쓰는 현재 Bicep은 0.1 버전이라서 아직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설치 방법이 조금 까다롭긴 하지만, 링크의 설치 문서를 따라하면 어렵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설치가 끝난 후에는 아래 명령어를 통해 앞서 작성한 Bicep 파일을 컴파일 하면 된다.

bicep build ./azuredeploy.bicep

ARM 템플릿 파일 비교

그렇다면, 직접 ARM 템플릿을 작성했을 때Bicep을 이용해 생성한 ARM 템플릿을 비교해 보도록 하자. 두 템플릿은 동일한 내용이다. 직접 작성했을 때에는 415 줄의 템플릿이 만들어졌지만, Bicep을 이용해 자동으로 생성했을 땐 306 줄로 줄어들었다. 또한 Bicep 원본 파일 자체는 288 줄이다. 아마도 변수를 좀 더 단순화시키는 쪽으로 리팩토링을 한다면 Bicep 파일의 크기는 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ARM 템플릿의 DSL인 Bicep의 초기 프리뷰 버전에 대해 살펴보았다. Bicep을 다뤄본 첫 인상은 꽤 사용하기 쉬워졌고, 템플릿 작성 경험이 좋아지겠다는 사실이다. 이를 통해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 역시 애저 ARM 템플릿의 개발 경험이 좀 더 나아지길 바란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렇게 만들어진 Bicep 파일을 ARM 템플릿 검사도구(ARM TTK)를 이용해 ARM 템플릿 자체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진행해 보도록 한다.